"한국은 동남아시아에 속한
"한국은 동남아시아에 속한 국가다." 한국에 대한 중대한 서술 오류가 다수 국가의 교과서에서 발견됐지만 재외공관들이 시정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감사원이 15일 지적했다.감사원이 이날 공개한 재외공관 운영 실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라오스, 헝가리 등을 담당하는 11개 재외공관은 한국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객관적 사실과 다른 중대한 오류가 주재국 교과서에 서술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방치하고 있었다. 이 같은 오류는 교육부 산하 한국학중앙연구원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총 81개국 교과서를 조사해 찾아낸 것이다. 외교부는 조사 결과를 공유받고 다시 74개 관할 재외공관에 전달해 시정 조치를 지시한 바 있다.영국 일부 교과서에는 "한국은 동남아에 속한 국가" "한국은 마약(암페타민) 제조국" 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현존 세계 최고(最古) 목판본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설명하면서 일본 다라니경 사진을 싣거나, 4세기경 일본군이 한국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사실처럼 언급한 교과서도 있었다.감사원은 "주영국 대사관은 이러한 오류와 관련해 해당 국가 교육부, 출판사 측과 접촉해 오류 시정을 요구하는 등 활동을 하지 않았고, 영국 교과서에는 해당 내용이 포함된 상태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라오스 교과서에선 "남한 인구의 63%는 농민이며 이들은 시골에 거주" "1446년 한국은 중국 문자와 유사한 새로운 문자를 발명하여 지금까지 사용" "러시아 제국은 1864~1875년 한국을 점령해 시장을 확대" 등 왜곡이 발견됐다.헝가리 교과서는 청나라 아편전쟁, 칭기즈칸 시대 몽골 제국, 한(漢)나라 시대 한반도를 모두 중국의 지배 영역으로 표시했다. 심지어 1750~1850년에 걸쳐 한반도가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주라오스·주헝가리 대사관은 오류 시정 활동을 하지 않았다. 주니제르·주볼리비아 대사관도 마찬가지였다.아르헨티나 일부 교과서에선 한국을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했으며, 한국의 영아 사망률이 40.1~60%에 이른다고 서술했다. "한국은 주로 다른 지난 14일 경남 함양군 백전면의 벚나무에 밤새 내린 눈이 하얗게 쌓여있다./연합뉴스 최근 서울과 수도권 동부 지역에서 만개한 벚꽃 위로 눈이 내리는 이례적인 풍경이 펼쳐졌다. 서울에서는 1907년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눈이 관측됐고, 강원 산지에는 3~8㎝가량의 눈이 쌓였다.15일 기상청과 과학계에 따르면 이번 눈의 원인은 절리저기압이다. 절리저기압은 뱀처럼 구불구불 흐르던 상층 제트기류의 일부가 끊겨 저기압이 남하하다가 고립된 것이다. 이 현상은 지상과 상층 간의 기온 차를 극대화해 대기를 극도로 불안정하게 만든다. 그 결과, 비와 눈, 돌풍, 우박 등 다양한 기상현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절리저기압은 자연적인 대기 현상으로, 지구온난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는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절리저기업의 발생 시기와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오스트리아 그라츠대 베게너 센터 연구진은 지난 2월 기후변화가 절리저기압의 계절성과 지리적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유럽과 아시아, 북미 등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18개의 기후 모델에서 6시간 간격으로 생성된 날씨 데이터를 분석해 절리저기압의 경로와 발생 강도를 추적했다. 그 결과 기후변화로 절리저기압이 더 자주, 더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더글러스 마라운 베게너 센터 연구원은 “북위 40도 이북과 동아시아 지역에서 절리저기압이 이전보다 더 이른 시기에,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특히 캐나다, 북유럽, 시베리아, 중국 등은 봄철 집중호우와 장기간의 강수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실제로 지난해부터 이어진 기상이변 사례들을 보면 절리저기압의 영향력은 점점 더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여름 장마 기간 동안에는 절리저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9개 지점에서 시간당 1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지난해 11월 말에는 서울, 인천, 수원에서 11월 관측 사상 가장 많은 눈이 내렸다. 서울에는 하루 동안 28.6㎝의 눈이 쌓였고, 이는 기상 관측 이래 11월 기준 적설 깊이 최고치를 갈아 치운 기록이었다. 이 역시 절리저기압이 찬 공기를 머금고 정체하면서 서해의 높은 해수면 온도와 만나 눈구름이 폭발적으로 발달한 결과였다.지난해 한반도 주변 해역
"한국은 동남아시아에 속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