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광명시 하안
15일 오전 광명시 하안동 광명시민체육관. 지난 11일 사고 이후 주민 대피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곳은 주민들이 인근 숙박업소로 이동하며 텅 비어있다. 한준호기자 15일 오전 10시께 광명시 하안동 광명시민체육관. 신안산선 지하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직후 주민 대피소로 지정된 이곳은 적막함만이 감돌았다. 사고 직후인 지난 11일만 해도 200여명의 주민으로 북적였지만 이튿날 모두 인근 숙소로 떠났고, 지난 13일 추가 대피한 30여명은 첫 행선지를 숙소로 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육관에는 여전히 구호단체의 구호 텐트 20여동, 각종 구호물품이 비치됐고 광명시 공무원들이 혹시 찾아올 지 모를 주민을 기다리고 있었다. 시 관계자는 “포스코이앤씨 측이 대피 주민들의 숙박비를 사후 정산하겠다고 밝히면서 모두 돌아간 상태”라며 “하지만 추가 붕괴 가능성이 제기돼 시의 대피 명령이 해제될 때까지 대피소 운영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15일 오전 광명 사고 현장 인근 한 초등학교에서 관계자들이 지표 투과 레이더를 활용해 지반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준호기자 비슷한 시간 사고 현장 인근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가득 차 있을 시간이지만 안전을 위해 전날부터 휴교에 들어간 탓에 정문은 굳게 닫혔고, 외부인 출입이 통제되고 있었다. 특히 정문 초입에서는 광명교육지원청, 국토안전관리원, 한국교육기술안전원 관계자 등이 지표 투과 레이더(GPR) 장비를 활용해 정밀 지반 검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붕괴 사고 이후 학교 운동장 일부에서 균열이 발견됐기 때문인데, 학교 안전에 이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경기도교육청은 “학교장, 운영위원회 회의를 통해 16일 등교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광명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구 붕괴 사고 현장. 크레인이 사고 잔해를 옮기는 가운데 소방, 구급차량이 대기하고 있다. 한준호기자 사고 닷새째를 맞은 붕괴 현장은 궂은 날씨가 잦아들면서 매몰된 실종자 구조 작업에 분주했다. 대형 크레인 두대가 H빔과 철근 등 잔해를 들어 올렸고, 굴착기 두 대는 지반 안정화 작 중국 광둥성 광저우의 승객 픽업 장소에서 대기 중인 ‘포니닷에이아이(Pony.ai)’ 자율주행택시. 광저우=신화 뉴시스 김철중 베이징 특파원 《9일 베이징 도심에 있는 베이징남역 주차장. 전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예약한 시간에 맞춰 도착하니 택시 한 대가 기다리고 있었다. 차 지붕에 달린 라이다(LiDAR·레이저 레이더) 장비와 차량 옆면에 붙은 카메라 장비를 통해 자율주행차임을 쉽게 알 수 있었다. 뒷좌석에 올라탄 뒤 모니터 화면에 예약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니 ‘안전벨트를 매라’는 안내 멘트와 함께 차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 도심 정체 구간도 무리 없이 주행 9일 중국 베이징에서 탑승한 자율주행차 뒷좌석의 화면에 주변 차량과 오토바이가 표시돼 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이날 기자는 자율주행택시를 타고 베이징남역에서 약 20km 떨어져 있는 베이징경제기술개발구까지 이동했다. 베이징 도심 속 기차역 주변에서는 지난달부터 자율주행택시가 운행을 시작했다. 해당 차량은 사람 없이 운행 가능한 4단계 기술력을 갖췄지만, 복잡한 주차장 환경과 운행 시 돌발상황에 대비해 안전 요원이 운전석에 탑승했다. 베이징남역은 철도, 지하철, 버스, 택시가 통합된 종합 교통 허브로 하루 평균 이용객이 30만 명에 달한다. 또 역 주변의 차량 정체도 심하다. 실제 주차장을 나오자마자 우회전 차로에 들어오려는 차들은 물론이고 자전거, 오토바이, 행인까지 뒤엉켜 상습 정체 구간임을 실감케 했다. 택시는 잠시 머뭇거리는가 싶더니 스스로 운전대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조금씩 전진했다. 늘어선 차량들 탓에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문제없이 정체 구간을 빠져나왔다. 잠시 뒤 도착한 유턴 구간. 중국 도로는 대부분 비보호 유턴을 해야 하는 구조다. 반대편 차로의 차량이 오지 않을 때 재빠르게 차를 돌려야 하는데 이 역시
15일 오전 광명시 하안